분류 전체보기 86

88올림픽고속도로 위성사진 - (1)

고속국도 제12호선 광주대구고속도로는 1984년 개통했으며, 옛 이름은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 확정을 기념(하라고 전두환이 지시)한 "88올림픽고속도로"였습니다. 특히, 이 도로는 2015년 선형 개량 이전까지 대한민국에서 유일한 왕복 2차선 고속도로로 악명이 높았으며, 남장수IC의 경우 국내 최후의 고속도로 상 평면교차 나들목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주~대구 사이를 잇는 가장 빠른 길이였기에 교통량이 적지 않았고, 사고율도 굉장히 높은 악마의 도로였습니다. 이 글은 그 유명한 88선의 과거 모습을 다룹니다. 사진 출처는 산림공간정보서비스의 1986~1992년 사진을 인용했습니다. 다만 2008년 이후 컬러 사진의 경우 카카오맵을 캡처한 것입니다. 88고속도로의 길이가 상당히 길기 때문에, ..

서울 4호선 GEC초퍼 희귀짤

1992년 어느 날, 서울메트로 시절 GEC쵸퍼 2대가 동작대교 남단에서 교행하는 짤.gif 과천선이 93년 1월 개통 후 순차적으로 VVVF로 모두 바뀌고 쵸퍼차는 전부 3호선으로 이적했으니, 정말 절묘한 시기에 찍힌 귀한 영상이라 할 수 있겠다. 심지어 상행선 열차는 상계행으로 추정. 당고개 연장이 93년도니 상계 창동 아니면 삼선교겠지... 한강철교 A선으로 빨간 맛 초저항 지나가는 짤.gif 저때는 D선 개통 이전이라, 영등포-서울 복복선 시절... 63빌딩 혼자 돋보이는 여의도가 인상적이다. 아래는 천호대교 - 광진교 사이로 5호선 하저터널 시공하는 모습. 가물막이로 한강을 가로막고 구조물을 놓았음. 남산1호터널 쌍굴 공사 현장. 예전엔 1굴 3차선 가변차로로 다녔다. 극심한 정체야 불 보듯 뻔..

새마을호 리즈 시절. 1993년

BGM: CUSCO - "Blizzard" #참조 구 선상역사 시절의 서울역. 현대는 롯데마트로 활용중 서울역 내부 수색기지창?에서 세차 중인 PP동차 중련 옛 서울역 플랫폼 다른 경부선 새마을호와 교행 새마을호 객실 내부 식당칸 부산역에 정차 중인 통일호 구 부산역 부산대교, 용두산 부산타워 무사고 100만km 달성으로 YS로부터 표창받는 원주호 기관사. 아래는 인상 깊은 gif 2장. 경부고속도로와의 병주 구간. 황간 쪽인듯? 시원하게 달려나가는 새마을호 출처: 대한뉴스 1976호 - 철도의 날

경부간선도로 서울 시내구간 옛 위성 사진

2020년 7월 7일로써 경부고속도로 대전-대구 구간이 뚫리며 전 구간 개통한지 50주년이 되었습니다. 지난 50년간 강남 개발 및 대한민국 발전의 기수 역할을 한 경부고속도로의 옛 모습을 살펴보겠습니다. 양재 이남 구간은 방랑시인님 블로그에 잘 서술되어 있으나, 서울 구간 사진이 없어 아쉬운 마음에 이 글을 써봅니다. 사진 출처는 흑백은 서울시 항공사진 서비스, 칼라는 카카오맵 캡처 떴습니다. 사진 년도는 전부 1973년 / 2019년 고정입니다. 1. 삼일대로 * 엄밀히 말하면 한남대교부터 경부고속도로는 아닌데, 어차피 직진하면 여기니까 넣었다. 2. 남산1호터널 3. 한남오거리, 한남대교 북단 4. 한남대교 남단 * 여기부터 경부고속도로 시작. 엄밀하게 따지면 2002년까지지만 5. 신사역 6. 잠..

제2경인고속도로 과거 위성 사진

1994년 개통한 제2경인고속도로의 90년대 시절 위성 사진입니다. 아래는 개통식 당시 대한뉴스 처음엔 인천 기점 ~ 서창 분기점 구간은 서해안고속도로의 일부로 개통했었고, 서창 ~ 광명 구간만 지선 격인 제2경인선에 속했었었습니다. 2001년 개편을 통해 인천 구간이 현재처럼 편입되었습니다. 인천 쪽은 워낙 오래전부터 개발된 도시다보니 지금의 경관과 크게 달라진 점은 없습니다. 다만 몇몇 IC 구조들이 개량된 부분이 있습니다. 개항 100주년 기념탑 현재의 서해사거리에 위치 1883년 강화도조약에 따른 인천항 개항을 기념해서 세웠던 탑입니다. 문제는 가뜩이나 교통량 많은 인천남항과 고속도로 입구 사이에 떡하니 박혀있었다는 점. 덕분에 2003년에 철거되는 안습한 운명을 맞이합니다. 제2순환고속도로 고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90년대 위성 사진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옛 이름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입니다. 그런데, 그보다도 앞서 다른 이름이 있었다는 사실은 아시나요? 1980년대 수도권 고속도로 확충 계획에 따라 경부고속도로 및 경인고속도로를 8차선 확장하고, 기존 고속도로 음영 지역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신갈안산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현 영동고속도로 - 게시글 참조), 시흥안산고속도로(현 서해안고속도로) 등을 신설하는 사업을 벌입니다. 당시 서울 송파 및 하남/구리도 대표적인 고속도로 음영 지역이었고, 경부와 중부고속도로 연결 목적과 겸하여 1988년 새 4차선 고속도로를 착공합니다. 이것이 고속국도 11호선 판교구리고속도로 입니다. 아무튼 그 당시 개통한 판교 분기점 - 퇴계원 나들목 구간의 옛 모습을 살펴보겠습니다. 판교JC 서울외곽순..